선선해지는 9월, 어떤 채소와 작물을 심으면 수확까지 성공할 수 있을까?
9월은 텃밭이나 화분 가꾸기 시작하기에 정말 좋은 시기예요.
폭염이 지나고 땅은 아직 따뜻해서 뿌리가 잘 내리거든요.
그래서 저는 매년 이맘때면 ‘무엇부터 심지?’ 하고 고민이 많아져요.
가을부터 초겨울까지 수확 가능한 작물들 중
특히 초보자도 실패 없이 키우기 쉬운 것들이 많거든요.
오늘은 9월에 심으면 딱 좋은
채소, 뿌리 작물, 허브류까지 싹 정리해드릴게요.
텃밭, 베란다, 화분 어디든 가능하니까
읽고 바로 씨앗부터 준비해보세요!
무, 배추, 갓김치용 채소들… 9월이 골든타임이에요
가을 대표 작물 중 최고는 뭐니 뭐니 해도 김장 채소들이죠.
무, 배추, 갓, 열무 같은 아이들은
9월 초~중순에 심어야 딱 좋아요.
가을 햇볕과 서늘한 바람 덕분에
병충해도 적고 맛도 훨씬 단맛이 올라오거든요.
작물 파종 시기 수확 시기 특징
무 | 9월 초 | 11월 중순 | 뿌리 튼튼하게 자리 잡음 |
배추 | 9월 초~10일 | 11월 초 | 김장용 필수 |
갓 | 9월 중순 | 10월 말~11월 | 갓김치 재료로 딱 |
열무 | 9월 초 | 10월 초 | 빠른 수확 가능 |
요즘은 품종개량된 종자도 많아서
‘소형 배추’나 ‘단무’ 같은 작물들도 인기예요.
공간이 좁아도 충분히 키울 수 있답니다.
잎채소는 지금부터가 제철! 상추, 쑥갓, 청경채까지 쑥쑥
초가을은 잎채소 키우기에 정말 딱 좋아요.
햇빛은 충분하고 온도는 서늘해서
상추 같은 채소가 쑥쑥 자라거든요.
특히 9월에는
새싹 채소 키우기도 정말 좋고,
1~2주 단위로 씨를 뿌려가며 ‘이어심기’ 하면
11월까지 계속 수확이 가능해요.
채소 파종 시기 수확까지 소요 기간
상추 | 9월 전 기간 | 3~4주 |
쑥갓 | 9월 초~중순 | 3~4주 |
청경채 | 9월 초 | 30~40일 |
근대 | 9월 상순 | 40일 전후 |
화분만 있어도 충분히 키울 수 있어서
베란다 텃밭에도 인기 많고요,
씨앗값도 저렴해서 진입 장벽도 낮아요.
루꼴라, 미나리, 부추… 향채소는 지금 심어야 겨울까지 쭉
향이 좋은 채소들은
열이 너무 심할 땐 잘 자라지 못하지만,
서늘한 가을 날씨엔 오히려 생장이 좋아요.
특히 루꼴라는 9월에 심어야
매운맛은 줄고 향은 강해지는 시기가 오죠.
채소 특징 수확 팁
루꼴라 | 고소한 향, 빠른 자람 | 수확 후 재생도 빠름 |
미나리 | 촉촉한 환경 선호 | 물 관리가 핵심 |
부추 | 다년생, 월동 가능 | 한 번 심으면 해마다 쓸 수 있음 |
루꼴라나 부추는
한 번 심어놓으면 내년까지도 키울 수 있고,
요리에 조금씩 따서 쓰기 좋아서 가성비도 훌륭해요.
가을 뿌리채소는 9월에 시작! 당근, 비트, 우엉 가능
무만 있는 게 아니에요.
가을에는 다양한 뿌리채소들을 심을 수 있어요.
특히 당근이나 비트는
여름보다 가을에 심는 게 더 단맛이 올라와서
맛이 훨씬 좋다고 해요.
작물 파종 시기 수확 시기
당근 | 9월 초~중순 | 11월~12월 |
비트 | 9월 초 | 11월 전후 |
우엉 | 9월 초 | 이듬해 봄 |
우엉은 땅이 깊은 곳에 뿌리 내리기 때문에
큰 화분이나 노지 텃밭이 있는 분들께 추천드리고,
비트는 베란다에서도 충분히 재배 가능하답니다.
허브류도 지금이 기회! 바질은 끝났지만 로즈마리, 타임은 OK
바질처럼 더운 날씨를 좋아하는 허브는
이제 9월부터는 키우기 어려워지지만
서늘한 날씨를 좋아하는 허브는 지금이 딱 좋아요.
특히 로즈마리, 타임, 오레가노 같은
지중해성 허브들은 9월~10월 심어도
가을 내내 쑥쑥 자라고, 겨울엔 실내에서 키우면 돼요.
허브 특징 활용
로즈마리 | 건조한 토양 선호 | 고기 요리, 향기 |
타임 | 다년생, 겨울도 OK | 스튜, 오븐 요리 |
오레가노 | 향이 진함 | 파스타, 피자 등 유럽식 요리에 활용 |
이런 허브들은 작게 잘라 말려서
요리용으로 말려두거나 향기로 쓰기에도 좋고
실내 인테리어용으로도 예뻐요.
초보자를 위한 추천 조합: 작은 텃밭에 딱 좋아요
‘뭘 심어야 할지 모르겠어요’ 하시는 분들을 위해
베란다, 옥상, 작은 마당에서도 할 수 있는
9월 맞춤 조합을 알려드릴게요.
구분 작물 조합 특징
1㎡ 텃밭 | 상추 + 열무 + 청경채 | 빠른 수확, 재배 쉬움 |
베란다 화분 | 루꼴라 + 바질 + 미나리 | 향채소 중심, 요리 활용 |
노지 텃밭 | 배추 + 무 + 갓 | 김장 대비용 조합 |
이렇게 심으면 가을이 지나기 전에
수확의 즐거움도 느낄 수 있어요.
뿌리채소, 잎채소, 허브까지 골고루 심어보세요.
제가 해봤던 9월 작물 베스트: 성공한 건 이런 조합이었어요
작년에 저는 9월 초에
배추, 무, 루꼴라, 청경채를 한꺼번에 심었어요.
결론은? 청경채와 루꼴라 대성공!
매일 조금씩 수확하면서
된장국, 볶음밥, 쌈까지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었고,
무도 아주 튼튼하게 잘 자라서
11월 김장할 때 사용했죠.
루꼴라는 한 번 수확하고 다시 자라서
한 달에 2~3번은 따서 쓸 수 있었고요.
작은 공간에서도 효율 최고였어요.
9월 파종, 이렇게만 기억하면 실패 없다!
- 9월 초: 김장채소(무, 배추, 갓), 빠른 잎채소
- 9월 중순: 향채소(루꼴라, 부추), 허브류
- 소형 공간: 상추, 청경채, 루꼴라
- 심는 장소별 맞춤 선택 필요
- 주 1~2회 간격 파종으로 수확 주기 조절 가능
지금 심는 작물들이
가을 끝자락에 풍성한 수확으로 보답해줄 거예요.
오늘이 가장 빠른 날! 바로 심어보세요.
《 함께 보면 좋은 글 》
가을 김장 알타리무 재배법, 심는 시기부터 수확까지 완벽 가이드
아삭한 김장총각김치의 핵심, 알타리무 재배 어떻게 시작하나요?알타리무는 김장철 빠질 수 없는 총각김치의 주재료로, 짧은 재배 기간과 아삭한 식감 덕분에 많은 분들이 가을철 직접 심고 수
bit90.kr
죽어가는 식물 살리기 완벽 가이드: 다시 살아나는 초록 기적 만들기
잎이 누렇게 뜨고 축 처진 식물… 정말 끝일까요? 아직 희망은 있어요화분 속 식물이 하루가 다르게 힘을 잃어가고 있다면 정말 속상하죠. 잎이 말라가고 줄기가 축 처지면 "이제 끝났나…" 싶지
bit90.kr
2025년 추분은 언제? 낮과 밤이 같아지는 날의 의미와 날짜 알아보기
추분, 가을의 중간 지점이자 낮과 밤의 균형이 이루어지는 날이에요추분은 가을의 한복판에서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는 특별한 절기예요. 본격적인 가을로 접어들며 햇볕은 점점 짧아지고,
bit90.kr
'텃밭작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 김장 알타리무 재배법, 심는 시기부터 수확까지 완벽 가이드 (5) | 2025.08.24 |
---|---|
가을 김장용 알타리무 심는 시기와 키우는 법, 수확까지 한눈에 정리! (4) | 2025.08.16 |
실패 없는 가을 강낭콩 심는 시기 초보 농부도 OK! 파종부터 수확까지 (7) | 2025.08.06 |
가을대파 심는 시기와 재배 관리법 완벽 가이드 (4) | 2025.08.06 |
김장 무우 배추 심는 시기와 재배 꿀팁 (4) | 2025.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