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7. 17. 13:00ㆍ텃밭작물
7~8월은 한 해 중 가장 더운 시기이자 작물 재배에 있어 ‘틈새 파종’이 가능한 시기입니다. 이 시기를 잘 활용하면 가을철 신선한 수확을 즐길 수 있고, 남은 텃밭 공간을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특히 가을작물 중 일부는 여름 말에 미리 심어야 안정적으로 뿌리를 내리고, 병해충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파종 시점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7월과 8월에 심을 수 있는 대표 작물과 지역별 고려사항, 실내·텃밭에서 키우기 쉬운 품종까지 정리해보겠습니다.
7~8월에 심기 좋은 대표 작물은?
여름 말부터 심어야 가을에 제대로 수확할 수 있는 작물들이 있습니다.
특히 뿌리채소, 잎채소, 콩과 작물 등은 7~8월 파종에 적합합니다.
작물 파종 시기 수확 시기 비고
열무 | 7월 중순~8월 중순 | 파종 후 25~30일 | 쌈채소, 김치용 |
배추 | 7월 말~8월 중순 | 10월 중순~11월 초 | 김장용 주재료 |
무 | 7월 말~8월 말 | 10월 중순 이후 | 김장무, 저장용 |
시금치 | 8월 초~8월 말 | 9~10월 | 저온성 작물, 가을파종 적합 |
청경채 | 7~8월 내내 가능 | 파종 후 30일 전후 | 텃밭 초보자 추천 |
강낭콩 | 7월 초~중순 | 9~10월 | 한해 두 번 가능 |
비트 | 7월 중순~8월 초 | 10월경 | 토양 배수 중요 |
상추 | 7~8월 중순 | 파종 후 30~40일 | 수확 주기 빠름 |
위 작물들은 여름의 뜨거운 햇볕 아래에서도
적절한 물 관리와 차광만 해주면 잘 자라는 품종들입니다.
지역별로 다른 파종 시기, 어떻게 구분하나요?
7~8월은 남부, 중부, 고랭지에 따라 파종 시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고온 피해나 병충해를 피하려면 지역별 특성에 맞춘 시기를 고려해야 합니다.
작물 중부 지방 남부 지방 고랭지
배추 | 8월 1~10일 | 7월 말~8월 5일 | 7월 초~15일 |
무 | 8월 중순 | 8월 초~중순 | 7월 하순 |
시금치 | 8월 하순 | 8월 중순~말 | 8월 초 이후 |
특히 김장용 작물은 첫 서리 전에 뿌리와 잎이 충분히 자라야 하므로
너무 늦은 파종은 금물입니다.
지역 기온에 따라 1~2주 앞당기거나 미루는 유연한 조절이 필요합니다.
초보자도 쉽게 심는 작물 추천 5가지
- 청경채
파종 후 30일 이내 수확 가능하고 병해에도 강합니다.
베란다, 텃밭에서 간편하게 기를 수 있습니다. - 열무
기온이 높아도 잘 자라며, 김치용으로 활용도 높습니다. - 적상추·청상추
반그늘에서도 잘 자라며, 뿌리까지 먹을 수 있어 텃밭 인기 작물입니다. - 비트
요즘 샐러드용으로 인기가 많아 수요도 높은 뿌리채소입니다. - 강낭콩
재배가 쉽고, 생육 기간이 짧아 가을 전에 충분히 수확이 가능합니다.
텃밭·베란다에서는 이렇게 관리하세요
7~8월은 고온다습하기 때문에 병해충 관리와 수분 조절이 중요합니다.
특히 다음 사항을 주의해 주세요.
- 아침·저녁으로만 물 주기: 한낮에 물 주면 뿌리 손상 우려
- 차광망 활용: 어린 모종이나 씨앗은 직사광선 피함
- 병충해 예방: 해충 많아지는 시기, 친환경 약제 주 1회 사용 권장
- 통풍 확보: 잎이 촘촘한 작물은 간격 넓게 심기
또한 베란다나 작은 공간에서는 20cm 깊이 이상의 플랜터를 활용하면
배추, 무, 시금치 등도 작게나마 충분히 수확이 가능합니다.
7~8월 작물 키울 때 자주 묻는 질문
Q. 늦여름에 상추를 심어도 괜찮나요?
A. 네. 고온기에도 상추는 자랍니다. 다만 일찍 꽃대가 올라올 수 있으므로
잎을 자주 수확해주는 방식으로 관리하면 좋습니다.
Q. 무·배추는 언제까지 심어야 김장에 사용할 수 있을까요?
A. 중부 기준 8월 10일 이전 파종이 이상적이며,
늦어도 8월 중순 이전에는 마쳐야 충분한 생장 기간이 확보됩니다.
Q. 시금치가 잘 안 자랍니다. 왜 그런가요?
A. 시금치는 저온성 작물로, 7월보다는 8월 하순 이후 파종이 적합합니다.
그전에는 발아가 어렵거나 웃자람 현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실제 농장·텃밭 경험에서 느낀 점
제가 직접 관리했던 작은 텃밭에서도
7월 말에 열무와 청경채를 심었을 때
8월 말에 싱싱한 잎채소를 수확할 수 있었고,
강낭콩은 9월 초에도 수확할 정도로 잘 자랐습니다.
특히 포인트는 ‘초기 물관리’였습니다.
씨앗을 심고 5일 정도 집중적으로 수분을 공급하고
이후엔 차광을 통해 토양 온도를 낮춰주는 것이
건강한 발아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7~8월 작물은 더위와 싸우는 만큼
사람의 손이 한두 번 더 가야 잘 자란다는 것도
직접 키우며 느낀 점이었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
화분에 생긴 초파리 없애는 가장 확실한 방법
화분에 초파리가 생기면 보기에도 찝찝하고, 흙이 썩거나 식물이 병들까 봐 걱정이 되죠.실제로 초파리 유충은 흙 속의 유기물을 갉아먹고, 뿌리 근처에서 서식하면서 식물의 건강을 해칠 수 있
bit90.kr
아보카도나무 키우기 씨앗 심기부터 풍성한 나무로 성장시키기 (초보자용)
아보카도 씨앗, 그냥 버리지 마세요! 🥑 아보카도를 먹고 남은 씨앗으로 멋진 나무를 키울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씨앗 심기부터 발아, 그리고 풍성한 나무로 성장시키기까지, 초보자
bit90.kr
2025년 스마트팜 지원사업: 자격부터 혜택까지 총정리
스마트팜, 2025년 농업의 미래를 열다! 스마트팜 지원사업의 최신 정보가 궁금하신가요? 까다로운 지원 자격부터 풍성한 혜택까지, 2025년 스마트팜 지원사업의 모든 것을 상세히 정리했습니다.
bit90.kr
'텃밭작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자도 성공하는 방울토마토 키우기, 모종부터 수확까지 완벽 가이드 (1) | 2025.07.15 |
---|---|
쪽파 재배 완전 정복! 심기부터 수확까지, 맛있고 건강한 쪽파 키우는 비법 (1) | 2025.07.09 |
애플수박 키우기부터 수확까지, 당도 최고일 때 따는 비결 (0) | 2025.07.03 |
강남콩 키우기, 도심 속에서도 가능한 친환경 텃밭 도전기 (0) | 2025.07.02 |
강낭콩 키우는 법과 효능, 심는 시기부터 수확까지 한눈에 (0) | 2025.06.28 |